‘아이를 학원에 보내면 우수한 선생님한테 수업을 받을 수 있는데다가 학원숙제를 해야 되서 학습량이 늘어나기 때문에 성적이 오를 것이다’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께서 경제적 부담에도 불구하고 아이를 학원에 보내고 계시지요.
그런데 독학으로도 특목고, 명문대에 합격하는 아이들이 매년 나타나는 것을 보면 성적을 올리는 일은 집에서도 가능해 보입니다. 다만, 그렇게 하려면 엄마가 아이와 매일 전쟁을 치러야 되다 보니 서로의 정신건강(?)을 위해 그냥 학원에 맡기는 면도 없지 않지요. 집에서 아이를 직접 가르치다 보면 아이 성적보다 엄마 혈압이 더 빨리 올라가잖아요. ‘이러다 내가 제명에 못죽겠구나’라는 생각이 들면서요.
그런데 아이들은 왜 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는 것일까요?
아이들이 공부를 안 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입니다. ‘왜 공부를 해야 하는지?’ 그리고 ‘공부를 하면 무엇이 좋은지?’ 그 이유를 잘 모르기 때문이지요. 그 반면에 공부는 재미없고 힘든 일이라는 사실을 너무 잘 알고 있고요. 그렇다 보니 아이들에게 막연히 ‘공부해라, 공부해라’ 잔소리를 한들 소 귀에 경읽기에 불과합니다.
따라서 아이들이 학원을 다니지 않고도 공부를 열심히 하게 만들려면 아이들에게 공부를 해야 되는 이유와 공부가 하고 싶어지게 만드는 의욕(장래희망 등)을 불어넣어주는 것이 중요하지요.
답답한 마음에 아이에게 공부를 자꾸 강요하면 아이들은 공부에서 멀어지는 것 뿐 아니라 부모님에게서도 멀어질 수가 있거든요. 특히, 초등학생들의 경우는 시간은 충분하니 너무 걱정하실 것도 조급해하실 것도 없습니다. 항간에 ‘초등학교 4학년 성적이 고등학교 성적이다’라느니 ‘초등학교 4학년 성적이 대학을 결정한다’라는 말이 있는데 이런 말들은 사교육 업체들이 마케팅을 위해 만들어낸 말에 불과하니까요.
물론 초등학교 때 공부습관을 잡아주면 중고등학교 진학 후에도 도움이 되는 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공부는 습관이 되어야 하니까요. 하지만 공부습관을 잡아주는 것과 성적을 올리는 것은 다른 이야기지요. 성적만 놓고 봤을 때 초등학교 성적과 중학교 성적은 딴 나라 이야기이고, 중학교 성적과 고등학교 성적도 딴 나라 이야기이며, 고1 성적과 고3 성적도 딴 나라 이야기거든요.
따라서 장기적인 넓은 마음을 가지고 아이와 함께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와 목적을 먼저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아이와 함께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와 목적을 찾으실 때는 ‘이게 좋지 않을까?’라는 막연한 생각이 아니라 아이와 적성검사를 받아보신 후 객관적인 결과를 토대로 충분한 대화를 나눠보시기 바랍니다.
(학교에서 이미 적성검사를 봤다고요? 그러면 또 받아보세요. 매년 1번씩 꾸준히 받아보는 것이 좋거든요. 아이들의 적성은 아이들의 성장과장에서 여러 차례 바뀌니까요. 보다 정확하게 말씀 드리면 적성 자체가 바뀌는 것이 아니라 적성처럼 보이는 아이의 두뇌개발수준이나 학습능력발달능력이 바뀌는 것이지요. 그렇기 때문에 아이의 발달 정도를 체크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말을 물가에 데려갈 수는 있지만 억지로 물을 먹일 수는 없는 것처럼 아이들도 책상에 앉힐 수는 있지만 억지로 지식을 넣을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억지로 물을 먹이려고 하시기 보다 물을 마셔야 되는 이유를 함께 찾아봐주세요. 지금 우리 아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물을 잘 마실 수 있는 방법이 아니라 물을 마셔야 되는 이유거든요. 우리 아이들이 그 이유를 알게 되면 시키지 않아도 물가로 달려가 충분한 양의 물을 스스로 마시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꼭 책상만 물가는 아닐 수 있다는 점도 잊지 말아주세요. 김연아에게는 빙상장이 책상이고, 박지성에게는 축구장이 책상이었을 수도 있으니까요.
추신 1. 배를 만들고 싶다면 사람들을 모아 목재를 가져오게 하고 일을 지시하고 일감을 나눠주지 말라. 그대신 그들에게 저 넓고 끝없는 바다를 꿈꾸게 하라 - 생텍쥐베리
추신 2. 학원도 아이 스스로 필요성을 느낄 때 보내주세요. 엄마의 필요에 의해 다니는 학원은 효율을 보기 어렵거든요. 아이는 공부가 더 싫어지고, 부모는 아아기 더 미워지기만 할 뿐이지요.
추신 3. 아이에게 공부하라는 잔소리 백 번보다 롤모델이 될만한 사람들의 기사를 보여주거나 감동적인 다큐를 한 편 보여주는 것이 학습동기를 불러일으키는데 훨씬 효과적입니다. 아이들이 동기부여될 수 있도록 다양한 체험을 시켜주세요. 직접체험이면 더 좋고 간접체험이어도 괜찮습니다.
추신 4. 우리아이에게 맞는 책상이 내가 원하는 그 책상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해서는 욕심을 내려놓는 용기도 필요하지요. 좋은 부모는 아이가 잘 할 수 있도록 무언가를 많이 시키는 사람이 아니라 아이가 잘 할 수 있는 무언가를 찾아주는 사람일수도 있으니까요. 우리 함께 내려놓기 연습을 해보면 어떨까요?
'자녀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모가 "이 화법" 계속 쓰면 아이가 속얘기 감춘다. (0) | 2022.08.31 |
---|---|
부모 자녀 의사소통 방법 (0) | 2020.09.29 |
[스크랩] 무너진 공부 자신감, 어떻게 올려주면 좋을까? (0) | 2018.04.27 |
아들 사용설명서 : 아들 키우기 힘드시지요? (0) | 2018.02.09 |
[스크랩] 사랑하기 때문에 필요한 부모의 매너 (0) | 2017.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