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6월 4일 직업상담사2급 실기 기출문제 정리
27. 게슈탈트(형태주의) 상담의 주요목표 3가지를 쓰시오 ★★ 17-2, 12-2
① 각성 : 내담자가 각성을 통해 자신을 직면하고 수용 할 수 있도록 돕는다.
② 책임 : 내담자가 자신의 행동에 책임질 수 있도록 돕는다.
③ 통합 : 내담자의 감정과 사고가 하나의 전체로써 통합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다.
28. Ginzberg(긴즈버그) 진로발달단계 중 현실기의 하위단계 3가지를 설명하시오 (6점) ★★★18-2, 14-1, 12-3, 10-2
① 탐색단계 : 개인은 자신의 진로선택을 2~3가지 정도로 좁혀간다. 그러나 대부분 이러한 선택을 애매하며 확실한 결정의 상태라고 보기는 어렵다.
② 구체화단계 : 특정 직업분야에 몰두하게 된다.
③ 특수화단계 : 각자가 직업을 선택하거나 혹은 특정의 진로에 맞는 직업훈련을 받게 된다.
29. 롭퀴스트와 데이비스의 직업적응이론에서 직업성격측면 3가지를 설명하시오. ★★★★ 20-2, 10-3, 15-2, 16-229-1. 직업적응이론에서는 개인이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특성을 나타내 주는 4가지 성격유형요소를 가정한다. 이 성격유형 요소들 중 3가지만 제시하고 각각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시오① 민첩성 : 활동과제에 대한 속도 (정확성보다는 속도를 중시)
② 역량 : 근로자의 평균활동 수준 및 개인의 에너지 소비량
③ 리듬 : 활동에 대한 다양성
④ 지구력 : 활동시간의 기간
30. 롭퀴스트와 데이비스의 직업 적응이론에서 적응 방식적 측면 4가지를 쓰시오★ 19-1
① 융통성 : 작업환경과 개인의 부조화를 참아내는 정도를 의미한다.
② 적극성 : 작업환경을 개인적 방식과 조화롭게 만들어가려는 노력의 정도를 의미한다.
③ 반응성 : 작업환경이 변화할 때 개인이 이에 반응(적응)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④ 끈 기 : 맞지 않는 환경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견딜 수 있는지의 정도를 의미한다.
31. 롭퀴스트와 데이비스의 직업 적응이론에 기초하여 개발된 적업적응과 관련된 실제적 검사도구 3가지를 쓰시오★★★ 10-3, 16-1, 19-2
① MIQ (미네소타 중요성질문지 Minnesota Importance Questionnair)
② MSQ (미네소타 만족성질문지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③ MJDQ (미네소타 직무기술 질문지 Job Description Questionair)
※ 추가 요점
① MIQ(Minnesota Importance Questionnaire)
개인이 일의 환경에 대하여 지니는 20가지의 욕구와 6가지의 가치관을 측정하는 도구이며, 190개의 문항으로 구성.
② MJDQ(Minnesota Job Description Questionnaire)
일의 환경이 MIQ에서 정의한 20개의 욕구를 만족시켜 주는 정도를 측정하는 도구.
③ MSQ(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 직무만족의 원인이 되는 일의 강화요인을 측정하는 도구.
32. 반두라가 주장한 사회인지이론의 3가지 영역모형을 쓰시오
사회인지이론(SCCT)의 세 가지 영역모델을 쓰고 설명하시오.
흥미모형 : 자기효능감, 결과기대는 개인의 흥미를 발달시킨다
선택모형 : 흥미발달은 진로목표와 진로활동 선택에 영향을 준다
수행모형 : 개인의 수행 수준은 자기 효능감, 결과기대에 영향을 받는다.
33. 사회인지이론(SCCT)에서 진로발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인 요인 3가지를 쓰고 설명하시오★★17-2
① 자기효능감 : 주어진 특정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을 의미한다
② 결과기대(성과기대) : 특정 과제를 수행했을 때 자기 자신 및 주변에 일어날 일에 대한 평가를 의미한다.
③ 개인적 목표 : 특정 결과를 성취하기 위한 개인의 의도를 의미한다.
34. 부처(Butcher)의 집단직업 상담을 위한 3단계 모델에 대해 쓰고 설명하시오 ★★★★★ 20-2, 17-2, 17-1, 15-3, 15-2,
① 탐색단계 : 자기개방, 흥미와 적성의 측정, 측정결과에 대한 피드백이 이루어지는 단계
② 전환단계 : 자기지식을 직업세계와 연결해서 자신의 가치와 피드백 간의 불일치를 해소하는 단계이다.
(자기지식을 직업세계와 연결하는 단계이다. / 피드백을 통해서 자기와 맞는 직업을 전환시키는 것이다.)
③ 행동단계 : 목표설정을 하고 목표달성을 위한 정보수집과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35. 백의 인지적 오류 중 3가지를 쓰고 간략히 설명하시오. ★★ 20-1
① 흑백논리 : 사고의 판단 과정을 단순히 이분법화 시켜 생기는 오류
② 임의적 추론 : 결론을 지지하는 증거가 없는데도 임의적으로 결론을 내리는 오류
③ 과잉일반화 : 특정 상황의 결과를 관계없는 상황까지 일반화하려는 오류
④ 개인화 : 자신과 관련 없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자신과 관련시키는 성향
36. 앨리스의 인지-정서-행동적 상담(REBT)에서 ABCDEF 모델에 대해 설명하시오★★★★★20-3, 20-2, 18-3, 18-1, 16-2, 04-2
① A선행사건 : 개인에게 정서적 혼란을 야기하는 사건(실직)=Activating event
② B신념체계 : 선행사건에서 비롯되는 개인의 신념 (실직은 무능이다. 살아갈 희망이 없다.)=Beliefs
③ C결과 : 신념체계에서 비롯된 정서적 행동적 결과 (패배주의, 초조, 불안)=Consequences
④ D논박 : 논리적인 원리를 제시하여 비합리적 신념을 논박하는 것( 실직은 무능이 아니다)=Dispute
⑤ E효과 : 논박의 결과, 비합리적 신념이 합리적 신념으로 바뀌는 것(실직도 극복할 수 있다.)=Effect
⑥ F새로운 감정 : 바뀐 합리적 신념에서 비롯된 새로운 감정이나 행동(취직 준비를 한다)=Feeling
37. 고트프레드슨(Gottfredson)의 직업과 관련된 개인발달의 4단계중에서 내적자아지향성을 제외한 3가지를 쓰고 설명하시오 ★★★★16-3, 15-3, 11-3, 11-2
① 힘과 크기 지향성 (3~5세) : 외형적 관심단계로 어른이 된다는 것의 의미를 알게 된다.
② 성역할 지향성 (6~8세) : 자아개념이 성의 발달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③ 사회적 가치 지향성 (9~13세) : 사회계층에 대한 개념이 생기면서 자아를 인식하게 된다.
④ 내적 고유한 자아 지향성(14세 이후) : 타인에 대한 개념이 생겨난다
38. 집단내 규쥰 3가지와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 19-1, 17-3, 15-1, 14-3, 12-3
① 백분위 점수 : 전체집단에서 개인의 상대적 위치를 알아보는 점수를 말한다.
예) 백분위 95점이라면 상위 5%의 위치이며 자기 밑으로 95%가 있다는 의미인다.
② 표준점수 : 점수분포의 표준편차를 이용해 개인이 평균으로부터 벗어난 거리를 표시한 것이다.
예) Z점수=(원점수-평균)/표준편차 T점수=50+(Z점수×10)
③ 표준등급 : 피검사자들 간의 작은 점수 차가 지나치게 확대 해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발한 표준점수로
1~9등급까지 나누어져 있다.
예) 고교내신등급 ,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등급
39. 인간중심치료상담에서 완전히(충분히) 기능하는 사람의 특성 4가지를 쓰시오. ★15-3, 08-3
① 경험에 개방적 이다
② 실존적인 삶을 산다
③ 자신을 신뢰한다
④ 자유롭다
⑤ 창조적이다
40. 내담자중심상담에서 상담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 직업상담사가 갖추어야 할 3가지 기본태도에 대해서 쓰시오
★★★★★20-1, 16-1, 15-3, 15-1, 09-3, 07-3, 06-1
① 일치성(진실성) : 상담자는 진실하고 개방적이어야 한다
② 공감적 이해 : 상담자는 내담자의 내면세계를 마치 자신의 것처럼 인식하여야 한다.
③ 무조건적 수용 : 상담자는 내담자를 비판없이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
44. 상호역활관계 사정방법에 대해서 3가지를 쓰고 설명하시오. ★★ 15-3, 14-3
① 질문을 통해 역할관계 사정하기
② 생애-계획연습으로로 전환시키기
③ 동그라미 역할관계 그리기
④ 생애역할 무지개 그리기